공직선거법 - 제15장 선거에 관한 쟁송.
공직선거법 - 제15장 선거에 관한 쟁송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공직선거법 - 제15장 선거에 관한 쟁송은 제219조 ~ 제229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직선거법
제15장 선거에 관한 쟁송
제219조(선거소청)
(1).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있어서 선거의 효력에 관하여 이의가 있는 선거인•정당(候補者를 추천한 政黨에 한한다. 이하 이 條에서 같다) 또는 후보자는 선거일부터 14일 이내에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을 피소청인으로 하여 지역구시•도의원선거(지역구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원선거는 제외한다), 자치구•시•군의원선거 및 자치구•시•군의 장 선거에 있어서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에, 비례대표시•도의원선거, 지역구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원선거 및 시•도지사선거에 있어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소청할 수 있다. [개정 2002.03.07, 2015.08.13]
(2).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있어서 당선의 효력에 관하여 이의가 있는 정당 또는 후보자는 당선인결정일부터 14일 이내에 제52조 제1항부터 제3항까지 또는 제192조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사유에 해당함을 이유로 하는 때에는 당선인을, 제190조(지역구지방의회의원당선인의 결정•공고•통지) 내지 제191조(地方自治團體의 長의 當選人의 決定•公告•통지)의 규정에 의한 결정의 위법을 이유로 하는 때에는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을 각각 피소청인으로 하여 지역구시•도의원선거(지역구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원선거는 제외한다), 자치구•시•군의원선거 및 자치구•시•군의 장 선거에 있어서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에, 비례대표시•도의원선거, 지역구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원선거 및 시•도지사선거에 있어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소청할 수 있다. [개정 2002.03.07, 2005.08.04, 2010.01.25, 2010.03.12, 2015.08.13]
(3).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피소청인으로 될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이 궐위된 때에는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 전원을 피소청인으로 한다.
(4).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피소청인으로 될 당선인이 사퇴 또는 사망하거나 제192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당선의 효력이 상실되거나 같은 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당선이 무효로 된 때에는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을,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이 궐위된 때에는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 전원을 피소청인으로 한다.
(5).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소청은 서면으로 하여야 하되,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기재한 후 기명하고 날인하여야 한다.
이 경우 소청장에는 당사자수에 해당하는 부본을 첨부하여야 한다. [개정 2011.07.28]
- 소청인의 성명과 주소
- 피소청인의 성명과 주소
- 소청의 취지 및 이유
- 소청의 대상이 되는 처분의 내용
- 대리인 또는 선정대표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성명과 주소
(6). 제5항의 규정에 의한 소청장을 접수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는 지체없이 소청장 부본을 당사자에게 송달하여야 한다.
(7). 제6항의 규정에 의하여 소청장 부본을 송달받은 피소청인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가 지정한 기일까지 답변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당사자수에 상응하는 부본을 첨부하여야 하며, 답변서를 접수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는 그 부본을 당사자에게 송달하여야 한다.
[제목 개정 2011.07.28]
제220조(소청에 대한 결정)
(1). 제219조(選擧訴請) 제1항 또는 같은조 제2항의 소청을 접수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는 소청을 접수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그 소청에 대한 결정을 하여야 한다.
(2). 제1항의 결정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기재한 서면으로 하여야 하며, 결정에 참여한 위원이 기명하고 서명 또는 날인하여야 한다. [개정 2011.07.28]
- 사건번호와 사건명
- 당사자•참가인 및 대리인의 성명과 주소
- 주문
- 소청의 취지
- 이유
- 결정한 날짜
(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는 지체없이 제2항의 결정서의 정본을 소청인•피소청인 및 참가인에게 송달하여야 하며, 그 결정요지를 공고하여야 한다.
(4). 소청의 결정은 소청인에게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송달이 있는 때에 그 효력이 생긴다.
[제목 개정 2011.07.28]
제221조({행정심판법}의 준용)
(1). 선거소청에 관하여는 이 법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행정심판법} 제10조(위원의 제척•기피•회피)(이 경우 “위원장”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로 본다), 제15조(선정대표자), 제16조(청구인의 지위 승계)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이 경우 “법인”은 “정당”으로 본다), 제17조(피청구인의 적격 및 경정) 제2항부터 제6항까지, 제18조(대리인의 선임), 제19조(대표자 등의 자격), 제20조(심판참가), 제21조(심판참가의 요구), 제22조(참가인의 지위), 제29조(청구의 변경), 제30조(집행정지) 제1항, 제32조(보정), 제33조(주장의 보충), 제34조(증거서류 등의 제출), 제35조(자료의 제출 요구 등) 제1항부터 제3항까지, 제36조(증거조사), 제37조(절차의 병합 또는 분리), 제38조(심리기일의 지정과 변경), 제39조(직권심리), 제40조(심리의 방식), 제41조(발언 내용 등의 비공개), 제42조(심판청구 등의 취하), 제43조(재결의 구분) 제1항•제2항, 제51조(행정심판 재청구의 금지), 제55조(증거서류 등의 반환), 제56조(주소 등 송달장소 변경의 신고의무), 제57조(서류의 송달) 및 제61조(권한의 위임)의 규정을 준용하고, 선거소청비용에 관하여는 {민사소송법}을 준용하되, {행정심판법}을 준용하는 경우 “행정심판”은 “선거소청”으로, “청구인”은 “소청인”으로, “피청구인”은 “피소청인”으로, “심판청구 또는 심판”은 “소청”으로, “심판청구서”는 “소청장”으로, “재결”은 “결정”으로, “재결기간”은 “결정기간”으로, “위원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로, “재결서”는 “결정서”로 본다. [개정 1998.04.30, 2005.08.04, 2008.02.29, 2010.01.25]
(2). 소청에 관하여 기타 필요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한다.
[제목 개정 2005.08.04]
제222조(선거소송)
(1). 대통령선거 및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 선거의 효력에 관하여 이의가 있는 선거인•정당(候補者를 추천한 政黨에 한한다) 또는 후보자는 선거일부터 30일 이내에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을 피고로 하여 대법원에 소를 제기할 수 있다.
(2).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있어서 선거의 효력에 관한 제220조의 결정에 불복이 있는 소청인(當選人을 포함한다)은 해당 소청에 대하여 기각 또는 각하 결정이 있는 경우(제220조 제1항의 기간 내에 결정하지 아니한 때를 포함한다)에는 해당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인용결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인용결정을 한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피고로 하여 그 결정서를 받은 날(제220조 제1항의 기간 내에 결정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10일 이내에 비례대표시•도의원선거 및 시•도지사선거에 있어서는 대법원에, 지역구시•도의원선거, 자치구•시•군의원선거 및 자치구•시•군의 장 선거에 있어서는 그 선거구를 관할하는 고등법원에 소를 제기할 수 있다. [개정 2002.03.07, 2010.01.2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피고로 될 위원장이 궐위된 때에는 해당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전원을 피고로 한다. [개정 2010.01.25]
제223조(당선소송)
(1). 대통령선거 및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 당선의 효력에 이의가 있는 정당(候補者를 추천한 政黨에 한한다) 또는 후보자는 당선인결정일부터 30일 이내에 제52조 제1항•제3항 또는 제192조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사유에 해당함을 이유로 하는 때에는 당선인을, 제187조(大統領當選人의 決定•公告•통지) 제1항•제2항, 제188조(地域區國會議員當選人의 決定•公告•통지) 제1항 내지 제4항, 제189조(比例代表國會議員議席의 배분과 當選人의 決定•公告•통지) 또는 제194조(당선인의 재결정과 비례대표국회의원의석 및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의석의 재배분) 제4항의 규정에 의한 결정의 위법을 이유로 하는 때에는 대통령선거에 있어서는 그 당선인을 결정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또는 국회의장을,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는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을 각각 피고로 하여 대법원에 소를 제기할 수 있다. [개정 2000.02.16, 2002.03.07, 2005.08.04, 2010.01.25, 2010.03.12, 2020.01.14, 2020.12.29]
(2).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있어서 당선의 효력에 관한 제220조의 결정에 불복이 있는 소청인 또는 당선인인 피소청인(제219조 제2항 후단에 따라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피소청인인 경우에는 당선인을 포함한다)은 해당 소청에 대하여 기각 또는 각하 결정이 있는 경우(제220조 제1항의 기간 내에 결정하지 아니한 때를 포함한다)에는 당선인(제219조 제2항 후단을 이유로 하는 때에는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말한다)을, 인용결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인용결정을 한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피고로 하여 그 결정서를 받은 날(제220조 제1항의 기간 내에 결정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10일 이내에 비례대표시•도의원선거 및 시•도지사선거에 있어서는 대법원에, 지역구시•도의원선거, 자치구•시•군의원선거 및 자치구•시•군의 장 선거에 있어서는 그 선거구를 관할하는 고등법원에 소를 제기할 수 있다. [개정 2002.03.07, 2010.01.2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피고로 될 위원장이 궐위된 때에는 해당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전원을, 국회의장이 궐위된 때에는 부의장중 1인을 피고로 한다. [개정 2010.01.25]
(4).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피고로 될 당선인이 사퇴•사망하거나 제192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당선의 효력이 상실되거나 같은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당선이 무효로 된 때에는 대통령선거에 있어서는 법무부 장관을, 국회의원선거•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있어서는 관할고등검찰청검사장을 피고로 한다.
제224조(선거무효의 판결 등)
소청이나 소장을 접수한 선거관리위원회 또는 대법원이나 고등법원은 선거쟁송에 있어 선거에 관한 규정에 위반된 사실이 있는 때라도 선거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정하는 때에 한하여 선거의 전부나 일부의 무효 또는 당선의 무효를 결정하거나 판결한다.
제225조(소송 등의 처리)
선거에 관한 소청이나 소송은 다른 쟁송에 우선하여 신속히 결정 또는 재판하여야 하며, 소송에 있어서는 수소법원은 소가 제기된 날 부터 180일 이내에 처리하여야 한다.
제226조(소송 등에 관한 통지)
(1). 이 장의 규정에 의하여 소청이 제기된 때 또는 소청이 계속되지 아니하게 되거나 결정된 때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는 당해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 및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에 통지하여야 한다.
(2). 이 장의 규정에 의하여 소가 제기된 때 또는 소송이 계속되지 아니하게 되거나 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대법원장 또는 고등법원장은 대통령선거 및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는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및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에,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있어서는 당해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 및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에 통지하여야 한다.
제227조({행정소송법}의 준용 등)
선거에 관한 소송에 관하여는 이 법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행정소송법} 제8조(法適用例) 제2항 및 제26조(職權審理)의 규정을 준용한다.
다만, 같은 법 제8조제2항에서 준용되는 {민사소송법} 제145조(화해의 권고), 제147조(제출기간의 제한) 제2항, 제149조(실기한 공격•방어방법의 각하), 제150조(자백간주) 제1항, 제220조(화해, 청구의 포기•인낙조서의 효력), 제225조(결정에 의한 화해권고), 제226조(결정에 대한 이의신청), 제227조(이의신청의 방식), 제228조(이의신청의 취하), 제229조(이의신청권의 포기), 제230조(이의신청의 각하), 제231조(화해권고결정의 효력), 제232조(이의신청에 의한 소송복귀 등), 제284조(변론준비절차의 종결) 제1항, 제285조(변론준비기일을 종결한 효과) 및 제288조(불요증사실)의 규정을 제외한다. [개정 2005.08.04]
[제목 개정 2005.08.04]
제228조(증거조사)
(1). 정당(候補者를 추천한 政黨에 한한다) 또는 후보자는 개표완료후에 선거쟁송을 제기하는 때의 증거를 보전하기 위하여 그 구역을 관할하는 지방법원 또는 그 지원에 투표함•투표지 및 투표록 등의 보전신청을 할 수 있다.
(2). 법관은 제1항의 신청이 있는 때에는 현장에 출장하여 조서를 작성하고 적절한 보관방법을 취하여야 한다.
다만, 소청심사에 필요한 경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시•도선거관리위원회는 증거보전신청자의 신청에 의하여 관여법관의 입회하에 증거보전물품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다.
(3). 제2항의 처분은 제219조(選擧訴請)의 규정에 의한 소청의 제기가 없거나 제222조(選擧訴訟) 및 제223조(當選訴訟)의 규정에 의한 소의 제기가 없는 때에는 그 효력을 상실한다.
(4). 선거에 관한 소송에 있어서는 대법원 및 고등법원은 고등법원•지방법원 또는 그 지원에 증거조사를 촉탁할 수 있다.
제229조(인지 첩부 및 첨부에 관한 특례)
선거에 관한 소송에 있어서는 {민사소송 등 인지법}의 규정에 불구하고 소송서류에 붙여야 할 인지는 {민사소송 등 인지법}에 규정된 금액의 10배로 한다. [개정 2005.08.04, 2012.12.18]
[제목 개정 2012.12.18]
공직선거법 더 보기
'선거 및 정당 > 공직선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직선거법 - 제17장 보칙 완벽정리 (8) | 2024.10.15 |
---|---|
공직선거법 - 제16장 벌칙 완벽정리 (9) | 2024.10.11 |
공직선거법 - 제14장의 2 재외선거에 관한 특례 완벽정리 (4) | 2024.10.11 |
공직선거법 - 제14장 동시선거에 관한 특례 완벽정리 (3) | 2024.10.10 |
공직선거법 - 제13장 재선거와 보궐선거 완벽정리 (4)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