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agent: * Allow:/ 공직선거법 - 제8장 선거비용 완벽정리

선거 및 정당/공직선거법

공직선거법 - 제8장 선거비용 완벽정리

하이로우즈 2024. 10. 6. 16:30
공직선거법 - 제8장 선거비용.

 

공직선거법 - 제8장 선거비용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공직선거법 - 제8장 선거비용은 제119조 ~ 제136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직선거법 - 제8장 선거비용

공직선거법


제8장 선거비용

제119조(선거비용 등의 정의)

(1). 이 법에서 “선거비용”이라 함은 당해 선거에서 선거운동을 위하여 소요되는 금전•물품 및 채무 그 밖에 모든 재산상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서 당해 후보자(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을 포함하며, 대통령선거에 있어서 政黨推薦候補者와 比例代表國會議員選擧 및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 있어서는 그 推薦政黨을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가 부담하는 비용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비용을 말한다. [개정 1995.04.01, 2000.02.16, 2004.03.12, 2005.08.04, 2010.01.25]

  1. 후보자가 이 법에 위반되는 선거운동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과 기부행위제한규정을 위반하여 지출한 비용
  2. 정당, 정당선거사무소의 소장, 후보자의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선거사무장•선거연락소장•회계책임자가 해당 후보자의 선거운동(위법선거운동을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과 기부행위제한규정을 위반하여 지출한 비용
  3. 선거사무장•선거연락소장•회계책임자로 선임된 사람이 선임•신고되기 전까지 해당 후보자의 선거운동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과 기부행위제한규정을 위반하여 지출한 비용
  4. 제2호 및 제3호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람이라도 누구든지 후보자, 제2호 또는 제3호에 규정된 자와 통모하여 해당 후보자의 선거운동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과 기부행위제한규정을 위반하여 지출한 비용

(2). 이 법에서 “수입”이라 함은 선거비용의 충당을 위한 금전 및 금전으로 환가할 수 있는 물품 기타 재산상의 이익을 받거나 받기로 한 약속을 말한다.

(3). 이 법에서 “지출”이라 함은 선거비용의 제공•교부 또는 그 약속을 말한다.

(4). 이 법에서 “회계책임자”라 함은 {정치자금법} 제34조(회계책임자의 선임신고 등) 제1항 제5호•제6호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선임신고된 각각의 회계책임자를 말한다. [신설 2005.08.04]

 

제120조(선거비용으로 인정되지 아니하는 비용)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비용은 이 법에 따른 선거비용으로 보지 아니한다. [개정 1995.12.30, 1997.11.14, 2004.03.12, 2010.01.25, 2017.02.08]

  1. 선거권자의 추천을 받는데 소요된 비용 등 선거운동을 위한 준비행위에 소요되는 비용
  2. 정당의 후보자선출대회비용 기타 선거와 관련한 정당활동에 소요되는 정당비용
  3. 선거에 관하여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선거관리위원회에 납부하거나 지급하는 기탁금과 모든 납부금 및 수수료
  4. 선거사무소와 선거연락소의 전화료•전기료 및 수도료 기타의 유지비로서 선거기간전부터 정당 또는 후보자가 지출하여 온 경비
  5. 선거사무소와 선거연락소의 설치 및 유지비용
  6. 정당, 후보자, 선거사무장, 선거연락소장, 선거사무원, 회계책임자, 연설원 및 대담•토론자가 승용하는 자동차[제91조(擴聲裝置와 自動車 등의 사용제한) 제4항의 규정에 의한 자동차와 선박을 포함한다]의 운영비용
  7. 제삼자가 정당•후보자•선거사무장•선거연락소장 또는 회계책임자와 통모함이 없이 특정 후보자의 선거운동을 위하여 지출한 전신료 등의 비용
  8. 제112조 제2항에 따라 기부행위로 보지 아니하는 행위에 소요되는 비용.
    다만, 같은 항 제1호 ㅁ목(정당의 사무소를 방문하는 사람에게 제공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및 제2호 ㅅ목(후보자•예비후보자가 아닌 국회의원이 제공하는 경우는 제외한다)의 행위에 소요되는 비용은 선거비용으로 본다.
  9. 선거일 후에 지출원인이 발생한 잔무정리비용
  10. 후보자(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을 포함한다)가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의 실시를 위하여 지출한 비용.
    다만, 제60조의 2 제1항에 따른 예비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부터 선거일까지의 기간 동안 4회를 초과하여 실시하는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비용은 선거비용으로 본다.

 

제121조(선거비용제한액의 산정)

(1). 선거비용제한액은 선거별로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산정되는 금액으로 한다.
이 경우 100만 원 미만의 단수는 100만 원으로 한다. [개정 2005.08.04, 2008.02.29, 2015.08.13, 2018.04.06]

  1. 대통령선거
    인구수×950원
  2. 지역구국회의원선거
    1억 원+(인구수×200원)+(읍•면•동수×200만 원). 이 경우 하나의 국회의원지역구가 둘 이상의 자치구•시•군으로 된 경우에는 하나를 초과하는 자치구•시•군마다 1천5백만 원을 가산한다.
  3.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인구수× 90원
  4. 지역구시•도의원선거
    4천만원+(인구수×100원)
  5. 비례대표시•도의원선거
    4천만원+(인구수×50원)
  6. 시•도지사선거
    ㄱ.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 선거
    4억 원(인구수 200만 미만인 때에는 2억 원)+(인구수×300원)
    ㄴ. 도지사 선거
    8억 원(인구수 100만 미만인 때에는 3억 원)+(인구수×250원)
  7. 지역구자치구•시•군의원선거
    3천500만 원+(인구수×100원)
  8. 비례대표자치구•시•군의원선거
    3천5백만 원+(인구수×50원)
  9. 자치구•시•군의 장 선거
    9천만 원+(인구수×200원)+(읍•면•동수×100만 원)

(2).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선거비용제한액을 산정하는 때에는 당해 선거의 직전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의 선거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제122조(선거비용제한액의 공고)의 규정에 의한 공고일이 속하는 달의 전전달 말일까지의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통계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하여 통계청장이 매년 고시하는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을 말한다)을 감안하여 정한 비율(이하 “제한액산정비율”이라 한다)을 적용하여 증감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제한액산정비율은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가 해당 선거 때마다 정한다. [개정 2005.08.04]

(3). 제135조 제2항에 따른 선거사무장 등(활동보조인은 제외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에게 지급할 수 있는 수당의 금액이 인상된 경우 총 수당 인상액과 선거사무장 등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산재보험 가입에 소요되는 총 산재보험료를 다음 각 호에 따라 산정하여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산정한 선거비용제한액에 각각 가산하여야 한다. [신설 2022.04.20]

  1. 총 수당 인상액
    선거사무장 등에게 지급할 수 있는 수당의 인상차액 × 선거사무장 등의 수(선거사무원의 경우에는 제62조 제2항에 따라 선거별로 선거사무장 또는 선거연락소장이 둘 수 있는 선거사무원의 최대수를 말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 × 해당 선거의 선거운동기간
  2. 총 산재보험료
    선거사무장 등의 수 × 제135조 제2항에 따라 선거사무장 등에게 지급할 수 있는 수당의 금액 × 해당 선거의 선거운동기간 × 산재보험료율

(4). 선거비용제한액 산정을 위한 인구수의 기준일, 제한액산정비율의 결정 기타 필요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한다. [개정 2022.04.20]

[본 조 신설 2004.03.12]

 

제122조(선거비용제한액의 공고)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별로 제121조(선거비용제한액의 산정)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한 선거비용제한액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고하여야 한다.

[전문 개정 2004.03.12]

 

제122조의 2(선거비용의 보전 등)

(1).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규정에 따라 후보자(대통령선거의 정당추천후보자와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및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 있어서는 후보자를 추천한 정당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이 법의 규정에 의한 선거운동을 위하여 지출한 선거비용[{정치자금법} 제40조(회계보고)의 규정에 따라 제출한 회계보고서에 보고된 선거비용으로서 정당하게 지출한 것으로 인정되는 선거비용을 말한다]을 제122조(선거비용제한액의 공고)의 규정에 의하여 공고한 비용의 범위 안에서 대통령선거 및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는 국가의 부담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의회의원 및 장의 선거에 있어서는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으로 선거일 후 보전한다. [개정 2004.03.12, 2005.08.04]

  1. 대통령선거, 지역구국회의원선거, 지역구지방의회의원선거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선거
    ㄱ. 후보자가 당선되거나 사망한 경우 또는 후보자의 득표수가 유효투표총수의 100분의 15 이상인 경우
    후보자가 지출한 선거비용의 전액
    ㄴ. 후보자의 득표수가 유효투표총수의 100분의 10 이상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
    후보자가 지출한 선거비용의 100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
  2.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및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
    후보자명부에 올라 있는 후보자 중 당선인이 있는 경우에 당해 정당이 지출한 선거비용의 전액

(2). 제1항에 따른 선거비용의 보전에 있어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비용은 이를 보전하지 아니한다. [신설 2005.08.04, 2010.01.25, 2011.07.28]

  1. 예비후보자의 선거비용
  2. {정치자금법} 제40조(회계보고)의 규정에 따라 제출한 회계보고서에 보고되지 아니하거나 허위로 보고된 비용
  3. 이 법에 위반되는 선거운동을 위하여 또는 기부행위제한규정을 위반하여 지출된 비용
  4. 제64조 또는 제65조에 따라 선거벽보와 선거공보를 관할 구•시•군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후 그 내용을 정정하거나 삭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5. 이 법에 따라 제공하는 경우 외에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지출된 수당•실비 그 밖의 비용
  6. 정당한 사유 없이 지출을 증빙하는 적법한 영수증 그 밖의 증빙서류가 첨부되지 아니한 비용
  7. 후보자가 자신의 차량•장비•물품 등을 사용하거나 후보자의 가족•소속 정당 또는 제3자의 차량•장비•물품 등을 무상으로 제공 또는 대여받는 등 정당 또는 후보자가 실제로 지출하지 아니한 비용
  8. 청구금액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산정한 통상적인 거래가격 또는 임차가격과 비교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현저하게 비싸다고 인정되는 경우 그 초과하는 가액의 비용
  9. 선거운동에 사용하지 아니한 차량•장비•물품 등의 임차•구입•제작비용
  10. 휴대전화 통화료와 정보이용요금.
    다만, 후보자와 그 배우자, 선거사무장, 선거연락소장 및 회계책임자가 선거운동기간 중 선거운동을 위하여 사용한 휴대전화 통화료 중 후보자가 부담하는 통화료는 보전한다.
  11. 그 밖에 위 각 호의 어느 하나에 준하는 비용으로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하는 비용

(3).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비용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후보자를 위하여 부담한다.
이 경우 제3호의 2 및 제5호의 비용은 국가가 부담한다. [개정 2004.03.12, 2005.08.04, 2007.01.03, 2008.02.29, 2010.01.25, 2014.01.17, 2015.08.13, 2020.12.29, 2022.04.20]

  1. 제64조에 따른 선거벽보의 첩부 및 철거의 비용(첩부 및 철거로 인한 원상복구 비용을 포함한다)
  2. 제65조에 따른 점자형 선거공보(같은 조 제11항에 따라 후보자가 제출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의 작성비용과 책자형 선거공보(점자형 선거공보 및 같은 조 제9항의 후보자정보공개자료를 포함한다) 및 전단형 선거공보의 발송비용과 우편요금
  3. 제66조(선거공약서) 제8항의 규정에 따른 점자형 선거공약서의 작성비용
    3의 2. 활동보조인(예비후보자로서 선임하였던 활동보조인을 포함한다)의 수당, 실비 및 산재보험료
  4. 제82조의 2(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대담•토론회)의 규정에 의한 대담•토론회(합동방송연설회를 포함한다)의 개최비용
  5. 제82조의 3(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정책토론회)의 규정에 의한 정책토론회의 개최비용
  6. 제161조(投票參觀)의 규정에 의한 투표참관인 및 제162조에 따른 사전투표참관인의 수당과 식비
  7. 제181조(開票參觀)의 규정에 의한 개표참관인의 수당과 식비

(4). 제3항 제6호에 따른 투표참관인 및 사전투표참관인 수당은 10만 원으로 하고, 같은 항 제7호에 따른 개표참관인 수당은 10만 원으로 한다.
이 경우 투표참관인 및 사전투표참관인의 수당과 개표참관 도중 개표참관인을 교체하는 경우의 수당은 6시간 이상 출석한 사람에게만 지급한다. [신설 2022.04.20]

(5).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따른 비용의 산정 및 보전청구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한다. [개정 2005.08.04, 2022.04.20]

[본 조 신설 2000.02.16]
[제목 개정 2011.07.28]

 

제123조 삭제 [2005.08.04]

제124조 삭제 [2005.08.04]

제125조 삭제 [2005.08.04]

제126조 삭제 [2005.08.04]

제127조 삭제 [2005.08.04]

제128조 삭제 [2005.08.04]

제129조 삭제 [2005.08.04]

제130조 삭제 [2005.08.04]

제131조 삭제 [2005.08.04]

제132조 삭제 [2005.08.04]

제133조 삭제 [2005.08.04]

제134조 삭제 [2005.08.04]

 

제135조(선거사무관계자에 대한 수당과 실비보상)

(1). 선거사무장•선거연락소장•선거사무원•활동보조인 및 회계책임자(이하 이 조에서 “선거사무장 등”이라 한다)에 대하여는 수당과 실비를 지급할 수 있다.
다만, 정당의 유급사무직원, 국회의원과 그 보좌관•선임비서관•비서관 또는 지방의회의원이 선거사무장 등을 겸한 때에는 실비만을 보상할 수 있으며,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부터 선거기간개시일 전일까지는 후보자로서 신고한 선거사무장 등에게 수당과 실비를 지급할 수 없다. [개정 2000.02.16, 2010.01.25, 2011.07.28, 2022.04.20]

(2). 제1항에 따라 선거사무장 등에게 지급할 수 있는 수당의 금액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같은 사람이 회계책임자•선거사무장•선거연락소장 또는 선거사무원•활동보조인을 함께 맡은 때에는 다음 각 호의 금액 중 많은 금액으로 한다. [개정 2022.04.20]

  1. 대통령선거 및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의 선거사무장 : 14만 원 이내
  2. 비례대표시•도의원선거와 시•도지사선거의 선거사무장, 대통령선거의 시•도선거연락소장 : 14만 원 이내
  3. 지역구국회의원선거 및 자치구•시•군의 장선거의 선거사무장, 대통령선거 및 시•도지사선거의 구•시•군선거연락소장 : 10만 원 이내
  4. 지역구시•도의원선거 및 자치구•시•군의원선거의 선거사무장, 지역구국회의원선거 및 자치구•시•군의 장선거의 선거연락소장 : 10만 원 이내
  5. 선거사무원•활동보조인 : 6만 원 이내
  6. 회계책임자 : 해당 회계책임자가 소속된 선거사무소 또는 선거연락소의 선거사무장 또는 선거연락소장의 수당과 같은 금액

(3). 이 법의 규정에 의하여 수당•실비 기타 이익을 제공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당•실비 기타 자원봉사에 대한 보상 등 명목여하를 불문하고 누구든지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금품 기타 이익의 제공 또는 그 제공의 의사를 표시하거나 그 제공의 약속•지시•권유•알선•요구 또는 수령할 수 없다. [개정 1996.02.06, 1997.01.13, 1997.11.14, 2000.02.16]

(4). 제1항에 따른 수당의 지급에 있어서 같은 정당의 추천을 받은 둘 이상의 후보자가 선거사무장 등(회계책임자는 제외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을 공동으로 선임한 경우 후보자별로 선거사무장 등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수당의 금액은 해당 후보자 사이의 약정에 따라 한 후보자의 선거사무장 등에 대한 수당만을 지급하여야 한다. [신설 2022.04.20]

(5). 제1항에 따라 선거사무장 등에게 지급할 수 있는 실비의 종류와 금액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한다. [신설 2022.04.20]

[제목 개정 2011.07.28]

 

제135조의 2(선거비용보전의 제한)

(1).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이 법의 규정에 의하여 선거비용을 보전함에 있어서 선거사무소의 회계책임자가 정당한 사유없이 {정치자금법} 제40조(회계보고)의 규정에 따른 회계보고서를 그 제출마감일까지 제출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비용을 보전하지 아니한다. [개정 2005.08.04]

(2).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후보자•예비후보자•선거사무장 또는 선거사무소의 회계책임자가 당해 선거와 관련하여 이 법 또는 {정치자금법} 제49조(선거비용관련 위반행위에 관한 벌칙)에 규정된 죄를 범함으로 인하여 유죄의 판결이 확정되거나 선거비용제한액을 초과하여 지출한 경우에는 이 법의 규정에 의하여 보전할 비용 중 그 위법행위에 소요된 비용 또는 선거비용제한액을 초과하여 지출한 비용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은 이를 보전하지 아니한다. [개정 2004.03.12, 2005.08.04]

(3).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제2항에도 불구하고 정당, 후보자(예비후보자를 포함한다) 및 그 가족, 선거사무장, 선거연락소장, 선거사무원, 회계책임자 또는 연설원으로부터 기부를 받은 자가 제261조 제9항에 따른 과태료를 부과받은 경우 이 법에 따라 보전할 비용 중 그 기부행위에 사용된 비용의 5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전하지 아니한다. [신설 2008.02.29, 2010.01.29, 2010.01.25, 2014.02.13]

(4). 제2항에 규정된 자가 당해 선거와 관련하여 이 법 또는 {정치자금법} 제49조에 규정된 죄를 범함으로 인하여 기소되거나 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하여 고발된 때에는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그 위법행위에 소요된 비용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의 보전을 유예한다. [개정 2005.08.04, 2008.02.29]

(5).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정당 또는 후보자에게 선거비용을 보전한 후에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라 보전하지 아니할 사유가 발견된 때에는 당해 정당 또는 후보자에게 그 사실을 통지하고, 보전비용액 중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금액의 반환을 명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정당 또는 후보자는 그 반환명령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당해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에 이를 반환하여야 한다. [개정 2008.02.29]

(6). 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정당 또는 후보자가 제5항 후단의 기한 안에 해당금액을 반환하지 아니한 때에는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는 관할세무서장에게 징수를 위탁하고 관할세무서장이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이를 징수하여 국가에 납입하여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의회의원 및 장의 선거에 있어서는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징수를 위탁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지방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이를 징수하여 지방자치단체에 납입하여야 한다. [개정 2008.02.29]

(7). 보전하지 아니할 비용의 산정 기타 필요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한다. [개정 2008.02.29]

[본 조 신설 2000.02.16]

 

제136조 삭제 [2005.08.04]

 

공직선거법 더 보기

 

공직선거법 - 제1장 총칙 완벽정리

공직선거법 - 제1장 총칙. 공직선거법 - 제1장 총칙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공직선거법 - 제1장 총칙은 제1조 ~ 제14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직선거법제1장 총칙제1조(목적)이 법

highlaws.tistory.com

 

공직선거법 - 제2장 선거권과 피선거권 완벽정리

공직선거법 - 제2장 선거권과 피선거권. 공직선거법 - 제2장 선거권과 피선거권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공직선거법 - 제2장 선거권과 피선거권은 제15조 ~ 제19조로 이루어져 있습니

highlaws.tistory.com

 

공직선거법 - 제3장 선거구역과 의원정수 완벽정리

공직선거법 - 제3장 선거구역과 의원정수. 공직선거법 - 제3장 선거구역과 의원정수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공직선거법 - 제3장 선거구역과 의원정수는 제20조 ~ 제32조로 이루어져

highlaws.tistory.com

 

공직선거법 - 제4장 선거기간과 선거일 완벽정리

공직선거법 - 제4장 선거기간과 선거일. 공직선거법 - 제4장 선거기간과 선거일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공직선거법 - 제4장 선거기간과 선거일은 제33조 ~ 제36조로 이루어져 있습니

highlaws.tistory.com

 

공직선거법 - 제5장 선거인명부 완벽정리

공직선거법 - 제5장 선거인명부. 공직선거법 - 제5장 선거인명부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공직선거법 - 제5장 선거인명부는 제37조 ~ 제46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직선거법제5장

highlaws.tistory.com

 

공직선거법 - 제6장 후보자 완벽정리

공직선거법 - 제6장 후보자. 공직선거법 - 제6장 후보자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공직선거법 - 제6장 후보자는 제47조 ~ 제57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직선거법제6장 후보자제47조(

highlaws.tistory.com

 

공직선거법 - 제6장의 2 정당의 후보자 추천을 위한 당내경선 완벽정리

공직선거법 - 제6장의 2 정당의 후보자 추천을 위한 당내경선. 공직선거법 - 제6장의 2 정당의 후보자 추천을 위한 당내경선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공직선거법 - 제6장의 2 정당의

highlaws.tistory.com

 

공직선거법 - 제7장 선거운동 완벽정리

공직선거법 - 제7장 선거운동. 공직선거법 - 제7장 선거운동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공직선거법 - 제7장 선거운동은 제58조 ~ 제118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직선거법제7장 선거운

highlaw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