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agent: * Allow:/ 형사소송법 제1편 총칙 - 제1장 법원의 관할 완벽정리

형사법/형사소송법 + 규칙 + 비용 등에 관한 규칙 및 법률

형사소송법 제1편 총칙 - 제1장 법원의 관할 완벽정리

하이로우즈 2024. 9. 20. 11:00
형사소송법 제1편 총칙 - 제1장 법원의 관할.

 
형사소송법 제1편 총칙 - 제1장 법원의 관할에 대하여 본 글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형사소송법 제1편 총칙 - 제1장 법원의 관할은 제1조~제16조 2까지 이루어져 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1편 총칙 - 제1장 법원의 관할.

형사소송법 제1편 총칙


제1장 법원의 관할

제1조(관할의 직권조사)

법원은 직권으로 관할을 조사하여야 한다.

 

제2조(관할위반과 소송행위의 효력)

소송행위는 관할위반인 경우에도 그 효력에 영향이 없다.

 

제3조(관할구역 외에서의 집무)

  1. 법원은 사실 발견을 위하여 필요하거나 긴급을 요하는 때에는 관할구역 외에서 직무를 행하거나 사실조사에 필요한 처분을 할 수 있다.
  2. 전항의 규정은 수명법관에게 준용한다.

 

제4조(토지관할)

  1. 토지관할은 범죄지, 피고인의 주소, 거소 또는 현재지로 한다.
  2. 국외에 있는 대한민국 선박 에서 범한 죄에 관하여는 전항에 규정한 곳 외에 선적지 또는 범죄 후의 선착지로 한다.
  3. 전 항의 규정은 국외에 있는 대한민국 항공기 에서 범한 죄에 관하여 준용한다.

 

제5조(토지관할의 병합)

토지관할을 달리하는 수개의 사건이 관련된 때에는 1개의 사건에 관하여 관할권 있는 법원은 다른 사건까지 관할할 수 있다.

 

제6조(토지관할의 병합심리)

토지관할이 다른 여러 개의 관련사건이 각각 다른 법원에 계속된 때에는 공통되는 바로 위의 상급법원은 검사나 피고인의 신청에 의하여 결정(決定)으로 한 개 법원으로 하여금 병합심리하게 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20.12.08]

 

제7조(토지관할의 심리 분리)

토지관할을 달리하는 수개의 관련사건이 동일 법원에 계속된 경우에 병합심리의 필요가 없는 때에는 법원은 결정으로 이를 분리하여 관할권 있는 다른 법원에 이송할 수 있다.

 

제8조(사건의 직권 이송)

  1. 법원은 피고인이 그 관할구역 내에 현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결정으로 사건을 피고인의 현재지를 관할하는 동급 법원에 이송할 수 있다.
  2. 단독판사의 관할 사건이 공소장 변경에 의하여 합의부 관할 사건으로 변경된 경우에 법원은 결정으로 관할권이 있는 법원에 이송한다. [신설 1995.12.29]

 

제9조(사물관할의 병합)

사물관할을 달리하는 수개의 사건이 관련된 때에는 법원합의부는 병합 관할한다.
단, 결정으로 관할권이 있는 법원 단독판사에게 이송할 수 있다.

 

제10조(사물관할의 병합심리)

사물관할을 달리하는 수개의 관련사건이 각각 법원 합의부와 단독판사에 계속된 때에는 합의부는 결정으로 단독판사에 속한 사건을 병합하여 심리할 수 있다.

 

제11조(관련사건의 정의)

관련사건은 다음과 같다.

  1. 1인이 범한 수죄
  2. 수인이 공동으로 범한 죄
  3. 수인이 동시에 동일 장소에서 범한 죄
  4. 범인은닉죄, 증거인멸죄, 위증죄, 허위감정통역죄 또는 장물에 관한 죄와 그 본범의 죄

 

제12조(동일사건과 수개의 소송계속)

동일 사건이 사물관할을 달리하는 수개의 법원에 계속된 때에는 법원 합의부가 심판한다.

 

제13조(관할의 경합)

같은 사건이 사물관할이 같은 여러 개의 법원에 계속된 때에는 먼저 공소를 받은 법원이 심판한다.
다만, 각 법원에 공통되는 바로 위의 상급법원은 검사나 피고인의 신청에 의하여 결정으로 뒤에 공소를 받은 법원으로 하여금 심판하게 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20.12.08]

 

제14조(관할지정의 청구)

검사는 다음 각 호의 경우 관계있는 제1심 법원에 공통되는 바로 위의 상급법원에 관할 지정을 신청하여야 한다.

  1. 법원의 관할이 명확하지 아니한 때
  2. 관할위반을 선고한 재판이 확정된 사건에 관하여 다른 관할법원이 없는 때

[전문개정 2020.12.08]

 

제15조(관할이전의 신청)

검사는 다음 경우에는 직근 상급법원에 관할이전을 신청하여야 한다.
피고인도 이 신청을 할 수 있다.

  1. 관할법원이 법률상의 이유 또는 특별한 사정으로 재판권을 행할 수 없을 때
  2. 범죄의 성질, 지방의 민심, 소송의 상황 기타 사정으로 재판의 공평을 유지하기 어려운 염려가 있는 때

 

제16조(관할의 지정 또는 이전 신청의 방식)

  1. 관할의 지정 또는 이전을 신청하려면 그 사유를 기재한 신청서를 바로 위의 상급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2. 공소를 제기한 후 관할의 지정 또는 이전을 신청할 때에는 즉시 공소를 접수한 법원에 통지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20.12.08]

 

제16조의 2(사건의 군사법원 이송)

법원은 공소가 제기된 사건에 대하여 군사 법원이 재판권을 가지게 되었거나, 재판권을 가졌음이  판명된 때에는 결정으로 사건을 재판권이 있는 같은 심급의 군사 법원으로 이송한다.
이 경우에 이송 전에 행한 소송행위는 이송 후에도 그 효력에 영향이 없다. [개정 1987.11.28]
[본조신설 1973.01.25]
 

결론


이상 형사소송법 제1장 법원의 관할 제1조~제16조 2까지 살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