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agent: * Allow:/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3장 마약류의 관리 완벽정리

보건 및 의사 및 약사/마약류에 관한 법률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3장 마약류의 관리 완벽정리

하이로우즈 2024. 10. 31. 22:05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3장 마약류의 관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3장 마약류의 관리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3장 마약류의 관리는 제9조 ~ 제17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은 마약류관리법의 약칭을 뜻합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3장 마약류의 관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마약류관리법)


제3장 마약류의 관리 [개정 2011.06.07]

제9조(수수 등의 제한)

(1).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제3조 제2호부터 제7호까지 또는 제4조 제2항 제7호따라 마약류 취급의 승인을 받은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는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가 아닌 자로부터 마약류를 양수할 수 없다.
다만, 제13조따라 허가관청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6.02.03, 2018.12.11]

(2).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는 이 법에서 정한 경우 외에는 마약류를 양도할 수 없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3.03.23, 2015.05.18, 2016.02.03, 2023.08.08]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ㄱ. 품목허가가 취소되어 소지ㆍ소유 또는 관리하는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을 다른 마약류취급자에게 양도하려는 경우
    ㄴ. 마약류취급학술연구자, 마약류취급승인자(제57조의 2 제2호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한다) 또는 제4조 제3항 단서에 따라 승인을 받은 마약류취급자에게 마약류를 양도하려는 경우
  2. 소유 또는 관리하던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을 사용중단 등의 사유로 원소유자 등인 마약류취급자ㆍ마약류취급승인자 또는 외국의 원소유자 등에게 반품하려는 경우
  3. {약사법} 제91조에 따른 한국희귀ㆍ필수의약품센터가 제57조의 2 제2호에 해당하는 마약류취급승인자에게 마약류를 양도하려는 경우

(3). 마약류제조업자, 마약류원료사용자 또는 마약류취급학술연구자가 다른 마약류제조업자, 마약류원료사용자 또는 마약류취급학술연구자에게 마약류(제제는 제외한다)를 양도하려면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개정 2013.03.23]

[전문 개정 2011.06.07]

 

제10조 삭제 [2015.05.18]

 

제11조(마약류 취급의 보고)

(1).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는 수출입ㆍ제조ㆍ판매ㆍ양수ㆍ양도ㆍ구입ㆍ사용ㆍ폐기ㆍ조제ㆍ투약하거나 투약하기 위하여 제공 또는 학술연구를 위하여 사용한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품명ㆍ수량ㆍ취급연월일ㆍ구입처ㆍ재고량ㆍ일련번호와 상대방(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조제 또는 투약의 대상이 동물인 경우에는 그 소유자 또는 관리자를 말한다)의 성명 등에 관한 사항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가 마약류 취급의 상대방일 때에는 취급범위, 허가ㆍ승인번호 및 허가ㆍ취급승인일을 함께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19.12.03]

(2). 마약류취급의료업자와 마약류소매업자는 제1항에서 정한 사항 외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19.12.03]

  1.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을 조제 또는 투약 받거나 투약하기 위하여 제공받은 환자의 주민등록번호(외국인인 경우에는 여권번호 또는 외국인 등록번호를 말한다. 이하 같다) 및 {통계법} 제22조 제1항 전단에 따라 작성 · 고시된 한국표준질병ㆍ사인분류에 따른 질병분류기호(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조제 또는 투약의 대상이 동물인 경우에는 그 종류, 질병명과 소유자 또는 관리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말한다)
  2.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을 투약하거나 투약하기 위하여 제공하거나 제32조 제2항에 따라 이를 기재한 처방전을 발급한 자의 업소명칭, 성명 및 면허번호

(3). 마약류관리자가 있는 의료기관의 경우 그 의료기관에서 마약류취급의료업자 또는 마약류관리자가 투약하거나 투약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에 대하여는 제1항과 제2항에도 불구하고 해당 마약류관리자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제2항에도 불구하고 마약류취급의료업자 또는 마약류소매업자가 조제ㆍ투약보고를 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하지 아니할 수 있다. [신설 2019.12.03]

  1. 처방전에 질병분류기호 또는 질병명이 기재되지 아니한 경우 : 해당 질병분류기호 또는 질병명(마약류소매업자에 한정한다)
  2. 수의사가 동물진료를 목적으로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투약을 동물병원 내에서 완료한 경우 : 해당 동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의 주민등록번호
  3.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된 정보 및 보안을 위하여 처방전을 공개할 수 없는 경우 : 해당 환자 또는 처방의사의 성명이나 환자의 주민등록번호

(5).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보고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변경보고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9.12.03]

(6).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보고 대상ㆍ절차ㆍ시기 등 및 제5항에 따른 변경보고 등에 필요한 사항은 총리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9.12.03]

[전문 개정 2015.05.18]

 

<+위임 행정규칙>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통계청고시 제2020 - 175호, 2020.07.01, 일부개정)

 

제11조의 2(마약류통합정보관리센터)

(1).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제11조에 따라 보고받거나 제13조 제2항에 따라 통지받은 정보(이하 “마약류 통합정보”라 한다)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계 전문기관을 마약류통합정보관리센터(이하 “통합정보센터”라 한다)로 지정하여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 [개정 2019.12.03]

  1. 마약류 통합정보의 수집ㆍ조사ㆍ이용 및 제공에 관한 사항
  2. 마약류 통합정보 관리를 위한 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3. 제11조따른 마약류 취급 보고에 관한 교육 및 홍보에 관한 사항
  4. 마약류 통합정보의 표준화 및 활용에 관한 연구ㆍ조사 및 교육에 관한 사항
  5. 제11조의 3따른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6. 제11조의 3따른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과의 연계 사용을 위한 외부 소프트웨어의 기능 검사 및 결과 공개에 관한 사항
  7. 그 밖에 마약류의 통합정보 관리에 관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사항

(2). 통합정보센터의 장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마약류취급자 및 마약류취급승인자 등을 대상으로 보고받은 정보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등 제1항에 따른 업무를 수행하거나 마약류 오남용을 분석하는 데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그 업무와 관련성이 있는 {주민등록법} 제30조 제1항에 따른 주민등록전산정보자료,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4항에 따른 전산정보자료, 출입국관리기록, 진료기록, 의약품공급기록 등의 자료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료[개인정보({개인정보 보호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개인정보를 말한다. 이하 같다)를 포함한다]를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하며, 통합정보센터의 장에게 제공하는 자료에 대하여는 사용료 또는 수수료 등을 면제한다. [개정 2019.12.03]

(3).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통합정보센터의 장은 제11조따라 보고된 정보나 제2항에 따라 제공받은 자료와 정보를 철저히 관리하여야 한다. [개정 2019.12.03]

(4).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통합정보센터의 장은 제11조에 따라 보고된 정보나 제2항에 따라 제공받은 자료와 정보를 철저히 관리하여야 한다. [개정 2019.12.03]

(4).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통합정보센터의 장에게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취급 및 관리 현황 등에 대하여 보고하게 할 수 있다.

(5).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통합정보센터의 운영 등에 사용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6). 제1항 제6호에 따른 외부 소프트웨어의 기능 검사에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 및 기준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여 고시한다. [신설 2019.12.03]

(7). 그 밖에 통합정보센터의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9.12.03]

[본 조 신설 2015.05.18]

 

<+위임 행정규칙>

  • 마약류 취급보고 연계소프트웨어 기능 검사 등에 관한 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21 - 86호, 2021.11.03, 일부개정)

 

제11조의 3(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운영)

(1).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마약류 통합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이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이라 한다)을 구축ㆍ운영하여야 한다.

(2).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 조 신설 2019.12.03]

 

제11조의 4(마약류 통합정보의 제공 등)

(1).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및 통합정보센터의 장은 마약류의 오남용 방지 및 안전한 취급ㆍ관리를 위하여 마약류 통합정보(개인정보는 제외한다)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2).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및 통합정보센터의 장은 마약류 통합정보 및 제11조의 2 제2항에 따라 제공받은 자료를 제3자에게 제공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마약류 통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개정 2022.06.10]

  1.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제41조에 따른 마약류의 취급 감시 등 안전관리 업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2. 검찰, 경찰, 그 밖의 수사기관이 법원이 발부한 압수ㆍ수색영장에 따라 범죄수사에 관련된 자료제공을 요구하는 경우
  3. 마약류취급의료업자가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과다ㆍ중복 처방 등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약내역(일자, 약품정보, 수량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요청(전자적 방법을 통한 요청을 포함한다)하는 경우. 이 경우 마약류취급의료업자는 환자에게 열람요청 사실을 사전에 알려야 한다.
  4. 그 밖에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공익목적을 위하여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 경우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제2항에 따라 정보를 제공받은 자는 해당 정보를 요구 또는 요청한 목적이 달성된 때에는 지체 없이 파기하여야 한다.

[본 조 신설 2019.12.03]

 

제11조의 5(마약류 통합정보의 가공 및 활용)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및 통합정보센터의 장은 마약류 오남용으로 인한 보건상의 위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마약류 통합정보(개인정보는 제외한다)를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다.

  1. 관련 행정기관 또는 공공기관 등에 마약류 오남용에 관한 통계 자료 등을 제공하여 관련 정책 수립 및 집행에 활용하도록 하는 경우
  2. 마약류소매업자 또는 마약류취급의료업자에게 마약류 오남용 사례 및 통계 자료 등을 제공하여 과다 처방을 억제하도록 하기 위한 경우.
    이 경우 자료제공의 내용 및 대상 등에 관하여는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마약류 오남용 관련 연구, 조사 및 교육 등을 위하여 마약류 오남용 관련 통계 자료 등을 제공하거나 공개하는 경우
  4. 그 밖에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공익목적을 위하여 가공 및 활용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본 조 신설 2019.12.03]

 

제11조의 6(취급정보의 목적 외 이용·제공 제한)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통합정보센터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종사하였던 사람,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ㆍ운영하기 위한 용역ㆍ연구ㆍ조사를 수행하는 사람이나 수행하였던 사람, 제11조의 4 또는 제11조의 5에 따라 마약류 통합정보를 제공받은 사람은 업무상 알게 된 마약류 통합정보와 관련하여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개인정보를 업무상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2. 개인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업무상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본 조 신설 2019.12.03]

 

제12조(사고 마약류 등의 처리)

(1).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는 소지하고 있는 마약류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면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허가관청(마약류취급의료업자의 경우에는 해당 의료기관의 개설허가나 신고관청을 말하며, 마약류소매업자의 경우에는 약국 개설 등록관청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 지체 없이 그 사유를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13.03.23, 2016.02.03]

  1. 재해로 인한 상실(喪失)
  2. 분실 또는 도난
  3. 변질ㆍ부패 또는 파손

(2).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가 소지하고 있는 마약류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폐기하려는 경우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폐기하여야 한다. [개정 2013.03.23, 2016.02.03]

  1. 제1항 제3호에 해당하는 사유
  2. 유효기한 또는 사용기한의 경과
  3. 유효기한 또는 사용기한이 지나지 아니하였으나 재고관리 또는 보관을 하기에 곤란한 사유

[전문 개정 2011.06.07]

 

제13조(자격 상실자의 마약류 처분)

(1). 마약류취급자(마약류관리자는 제외한다)가 제8조 및 제44조에 따라 마약류취급자 자격을 상실한 경우에는 해당 마약류취급자ㆍ상속인ㆍ후견인ㆍ청산인 및 합병 후 존속하거나 신설된 법인은 보유하고 있는 마약류를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허가관청의 승인을 받아 마약류취급자에게 양도하여야 한다.
다만, 그 상속인이나 법인이 
마약류취급자인 경우에는 해당 허가관청의 승인을 받아 이를 양도하지 아니할 수 있으며, 대마재배자의 상속인이나 그 상속 재산의 관리인ㆍ후견인 또는 법인이 대마재배자가 되려고 신고하는 경우에는 해당 연도에 한정하여 제6조 제1항 제5호따른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 [개정 2013.03.23, 2015.05.18]

(2). 제1항에 따라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양도 등을 승인한 허가관청은 승인에 관한 사항을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알려야 한다. [신설 2015.05.18]

(3).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제1항 단서에 따른 신고를 받은 경우에는 그 내용을 검토하여 이 법에 적합하면 신고를 수리하여야 한다. [신설 2018.12.11]

[전문 개정 2011.06.07]

 

제14조(광고)

(1). 제3조 제12호에도 불구하고 마약류제조업자ㆍ마약류수출입업자는 제18조 또는 제21조에 따라 품목허가를 받은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을 의학ㆍ약학ㆍ수의학에 관한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하는 매체 또는 수단에 의한 경우에 한정하여 광고할 수 있다. [개정 2016.12.02, 2020.03.31]

(2). 제1항에 따른 광고의 매체 또는 수단은 다음 각 호와 같다. [신설 2020.03.31]

  1. 의학ㆍ약학ㆍ수의학에 관한 사항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신문 또는 잡지
  2. 제품설명회. 이 경우 설명 내용에는 부작용 등 사용 시 주의사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3). 제1항에 따른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에 관한 광고의 기준은 총리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03.23, 2016.12.02, 2020.03.31]

[전문 개정 2011.06.07]

 

제15조(마약류의 저장)

마약류취급자, 마약류취급승인자 또는 제4조 제2항 제3호부터 제5호까지 및 제5조의 2 제6항 각 호에 따라 마약류나 예고임시마약류 또는 임시마약류를 취급하는 자는 그 보관ㆍ소지 또는 관리하는 마약류나 예고임시마약류 또는 임시마약류를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른 의약품과 구별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이 경우 마약은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견고한 장소에 저장하여야 한다. [개정 2013.03.23, 2014.03.18, 2016.02.03, 2018.03.13]

[전문 개정 2011.06.07]

 

제16조(봉함)

(1).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마약류를 판매하거나 수출 또는 양도할 때에는 그 용기나 포장을 봉함(封緘)하여야 한다.
이 경우 봉함은 그 봉함을 뜯지 아니하고서는 용기나 포장을 개봉할 수 없고, 개봉한 후에는 쉽게 원상으로 회복시킬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3.03.23, 2016.02.03]

  1. 마약류수출입업자
  2. 마약류제조업자
  3. 마약류원료사용자
  4. 마약류취급학술연구자
  5. 마약류취급승인자

(2). 마약류취급자ㆍ마약류취급승인자는 제1항에 따라 봉함을 하지 아니한 마약류를 수수하지 못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3.03.23, 2016.02.03]

  1. 마약류취급자가 제9조 제2항 제3호따라 소유 또는 관리하던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을 원소유자 등 마약류취급자에게 반품하려는 경우
  2. 제13조따라 보유하고 있는 마약류를 마약류취급자에게 양도하는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전문 개정 2011.06.07]

 

제17조(용기 등의 기재사항)

(1).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및 한외마약의 용기ㆍ포장 또는 첨부 문서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기재하여야 한다. [개정 2013.03.23, 2016.02.03]

(2).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의 용기ㆍ포장 및 첨부 문서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붉은색으로 표시된 “마약” 또는 “향정신성”이라는 문자를 다른 문자ㆍ기사ㆍ그림 또는 도안보다 쉽게 볼 수 있는 부분에 표시하여야 한다. [신설 2016.02.03]

[전문 개정 2011.06.07]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더 보기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1장 총칙 완벽정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1장 총칙.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1장 총칙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1장 총칙은 제1조 ~ 제5조의 3으로 이루어져 있습

highlaws.tistory.com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2장 허가 등 완벽정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2장 허가 등.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2장 허가 등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제2장 허가 등은 제6조 ~ 제8조로 이루어져

highlaw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