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agent: * Allow:/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3장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 완벽정리

노동 및 환경/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시행령 + 시행규칙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3장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 완벽정리

하이로우즈 2024. 9. 24. 16:00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3장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3장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은 퇴직급여법과 동일한 뜻을 나타내며, 약칭을 뜻합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3장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는 제13조 ~ 제18조의 2까지 이루어져 있습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3장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퇴직급여법)


제3장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

제13조(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의 설정)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하려는 사용자는 제4조 제3항 또는 제5조에 따라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얻거나 의견을 들어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한 확정급여형 퇴직연금규약을 작성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개정 2021.04.13]

  1. 퇴직연금사업자 선정에 관한 사항
  2. 가입자에 관한 사항
  3. 가입기간에 관한 사항
  4. 급여 수준에 관한 사항
  5. 급여 지급능력 확보에 관한 사항
  6. 급여의 종류 및 수급요건 등에 관한 사항
  7. 제28조에 따른 운용관리업무 및 제29조에 따른 자산관리업무의 수행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의 체결 및 해지와 해지에 따른 계약의 이전(移轉)에 관한 사항
  8. 운용현황의 통지에 관한 사항
  9. 가입자의 퇴직 등 급여 지급사유 발생과 급여의 지급절차에 관한 사항
  10. 퇴직연금제도의 폐지•중단 사유 및 절차 등에 관한 사항
    10의 2. 부담금의 산정 및 납입에 관한 사항
  11. 그 밖에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의 운영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제14조(가입기간)

(1). 제13조 제3호에 따른 가입기간은 퇴직연금제도의 설정 이후 해당 사업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기간으로 한다.

(2). 해당 퇴직연금제도의 설정 전에 해당 사업에서 제공한 근로기간에 대하여도 가입기간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8조 제2항에 따라 퇴직금을 미리 정산한 기간은 제외한다.

 

제15조(급여수준)

제13조 제4호의 급여 수준은 가입자의 퇴직일을 기준으로 산정한 일시금이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1.04.13]

 

제16조(급여 지급능력 확보 등)

(1).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한 사용자는 급여 지급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매 사업연도 말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금액 중 더 큰 금액(이하 “기준책임준비금”이라 한다)에 100분의 60 이상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이하 “최소적립금”이라 한다) 이상을 적립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다만, 제14조 제2항에 따라 해당 퇴직연금제도 설정 이전에 해당 사업에서 근로한 기간을 가입기간에 포함시키는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에 따른다.

  1. 매 사업연도 말일 현재를 기준으로 산정한 가입자의 예상 퇴직시점까지의 가입기간에 대한 급여에 드는 비용 예상액의 현재가치에서 장래 근무기간분에 대하여 발생하는 부담금 수입 예상액의 현재가치를 뺀 금액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한 금액
  2. 가입자와 가입자였던 사람의 해당 사업연도 말일까지의 가입기간에 대한 급여에 드는 비용 예상액을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한 금액

(2).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의 운용관리업무를 수행하는 퇴직연금사업자는 매 사업연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정된 적립금이 최소적립금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야 한다.
다만, 최소적립금보다 적은 경우에는 그 확인 결과를 근로자대표에게도 알려야 한다. [개정 2020.05.26]

(3). 사용자는 제2항에 따른 확인 결과 적립금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적립금 부족을 해소하여야 한다.

(4). 제2항에 따른 확인 결과 매 사업연도 말 적립금이 기준책임준비금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는 그 초과분을 향후 납입할 부담금에서 상계(相計)할 수 있으며, 매 사업연도 말 적립금이 기준책임준비금의 100분의 150을 초과하고 사용자가 반환을 요구하는 경우 퇴직연금사업자는 그 초과분을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제17조(급여 종류 및 수급요건 등)

(1).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의 급여 종류는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하되, 수급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연금은 55세 이상으로서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가입자에게 지급할 것.
    이 경우 연금의 지급기간은 5년 이상이어야 한다.
  2. 일시금은 연금수급 요건을 갖추지 못하거나 일시금 수급을 원하는 가입자에게 지급할 것

(2). 사용자는 가입자의 퇴직 등 제1항에 따른 급여를 지급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퇴직연금사업자로 하여금 적립금의 범위에서 지급의무가 있는 급여 전액(사업의 도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제16조 제1항 제2호에 따른 금액에 대한 적립금의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퇴직연금제도 적립금으로 투자된 운용자산 매각이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가입자 및 퇴직연금사업자 간의 합의에 따라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3). 사용자는 제2항에 따라 퇴직연금사업자가 지급한 급여 수준이 제15조에 따른 급여 수준에 미치지 못할 때에는 급여를 지급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그 부족한 금액을 해당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이 경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4). 제2항 및 제3항에 따른 급여의 지급은 가입자가 지정한 개인형 퇴직연금제도의 계정 등으로 이전하는 방법으로 한다.
다만, 가입자가 55세 이후에 퇴직하여 급여를 받는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21.04.13]

(5). 가입자가 제4항에 따라 개인형퇴직연금제도의 계정 등을 지정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가입자 명의의 개인형퇴직연금제도의 계정으로 이전한다.
이 경우 가입자가 해당 퇴직연금사업자에게 개인형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한 것으로 본다. [개정 2021.04.13]

 

제18조(운용현황의 통지)

퇴직연금사업자는 매년 1회 이상 적립금액 및 운용수익률 등을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가입자에게 알려야 한다.

 

제18조의 2(적립금운용위원회 구성 등)

(1). 상시 30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의 사용자는 퇴직연금제도 적립금의 합리적인 운용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적립금운용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한다.

(2). 제1항의 사용자는 적립금운용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적립금운용계획서에 따라 적립금을 운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적립금운용계획서는 적립금 운용 목적 및 방법, 목표수익률, 운용성과 평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매년 1회 이상 작성하여야 한다.

[본 조 신설 2021.04.13]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더 보기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1장 총칙 완벽정리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1장 총칙.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1장 총칙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의 퇴직급여법과 동일한 뜻이며, 약칭을 뜻합니다.근로

highlaws.tistory.com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2장 퇴직급여제도의 설정 완벽정리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2장 퇴직급여제도의 설정.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제2장 퇴직급여제도의 설정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은 퇴직급여법과 동일

highlaw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