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agent: * Allow:/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 - 제2장 항소 완벽정리

형사법/형사소송법 + 규칙 + 비용 등에 관한 규칙 및 법률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 - 제2장 항소 완벽정리

하이로우즈 2024. 12. 8. 17:41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 - 제2장 항소.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 - 제2장 항소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 - 제2장 항소는 제155조 ~ 제159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 - 제2장 항소

형사소송규칙


제3편 상소
제2장 항소

제155조(항소이유서, 답변서의 기재)

항소이유서 또는 답변서에는 항소이유 또는 답변내용을 구체적으로 간결하게 명시하여야 한다.

 

제156조(항소이유서, 답변서의 부본제출)

항소이유서 또는 답변서에는 상대방의 수에 2를 더한 수의 부본을 첨부하여야 한다. [개정 1996.12.03]

 

제156조의 2(국선변호인의 선정 및 소송기록접수통지)

(1). 기록의 송부를 받은 항소법원은 법 제33조 제1항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필요적 변호사건에 있어서 변호인이 없는 경우에는 지체없이 변호인을 선정한 후 그 변호인에게 소송기록접수통지를 하여야 한다.
법 제33조 제3항에 의하여 국선변호인을 선정한 경우에도 그러하다. [개정 2006.03.23, 2006.08.17, 2016.06.27]

(2). 항소법원은 항소이유서 제출기간이 도과하기 전에 피고인으로부터 법 제33조 제2항의 규정에 따른 국선변호인 선정청구가 있는 경우에는 지체없이 그에 관한 결정을 하여야 하고, 이 때 변호인을 선정한 경우에는 그 변호인에게 소송기록접수통지를 하여야 한다. [신설 2006.03.23, 2006.08.17]

(3). 제1항, 제2항의 규정에 따라 국선변호인 선정결정을 한 후 항소이유서 제출기간 내에 피고인이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그 선정결정을 취소하고 새로운 국선변호인을 선정한 경우에도 그 변호인에게 소송기록접수통지를 하여야 한다. [신설 2006.03.23]

(4). 항소법원이 제2항의 국선변호인 선정청구를 기각한 경우에는 피고인이 국선변호인 선정청구를 한 날로부터 선정청구기각결정등본을 송달받은 날까지의 기간을 법 제361조의 3 제1항이 정한 항소이유서 제출기간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다만, 피고인이 최초의 국선변호인 선정청구기각결정을 받은 이후 같은 법원에 다시 선정청구를 한 경우에는 그 국선변호인 선정청구일로부터 선정청구기각결정등본 송달일까지의 기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신설 2006.03.23]

[본 조 신설 1996.12.03]

 

제156조의 3(항소이유 및 답변의 진술)

(1). 항소인은 그 항소이유를 구체적으로 진술하여야 한다.

(2). 상대방은 항소인의 항소이유 진술이 끝난 뒤에 항소이유에 대한 답변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여야 한다.

(3). 피고인 및 변호인은 이익이 되는 사실 등을 진술할 수 있다.

[본 조 신설 2007.10.29]

 

제156조의 4(쟁점의 정리)

법원은 항소이유와 답변에 터잡아 해당 사건의 사실상•법률상 쟁점을 정리하여 밝히고 그 증명되어야 하는 사실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본 조 신설 2007.10.29]

 

제156조의 5(항소심과 증거조사)

(1). 재판장은 증거조사절차에 들어가기에 앞서 제1심의 증거관계와 증거조사결과의 요지를 고지하여야 한다.

(2). 항소심 법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증인을 신문할 수 있다.

  1. 제1심에서 조사되지 아니한 데에 대하여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고, 그 신청으로 인하여 소송을 현저하게 지연시키지 아니하는 경우
  2. 제1심에서 증인으로 신문하였으나 새로운 중요한 증거의 발견 등으로 항소심에서 다시 신문하는 것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3. 그 밖에 항소의 당부에 관한 판단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본 조 신설 2007.10.29]

 

제156조의 6(항소심에서의 피고인 신문)

(1). 검사 또는 변호인은 항소심의 증거조사가 종료한 후 항소이유의 당부를 판단함에 필요한 사항에 한하여 피고인을 신문할 수 있다.

(2). 재판장은 제1항에 따라 피고인 신문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제1심의 피고인 신문과 중복되거나 항소이유의 당부를 판단하는 데 필요 없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신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한할 수 있다.

(3). 재판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피고인을 신문할 수 있다.

[본 조 신설 2007.10.29]

 

제156조의 7(항소심에서의 의견진술)

(1). 항소심의 증거조사와 피고인 신문절차가 종료한 때에는 검사는 원심 판결의 당부와 항소이유에 대한 의견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여야 한다.

(2). 재판장은 검사의 의견을 들은 후 피고인과 변호인에게도 제1항의 의견을 진술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본 조 신설 2007.10.29]

 

제157조(환송 또는 이송판결이 확정된 경우 소송기록 등의 송부)

법 제366조 또는 법 제367조 본문의 규정에 의한 환송 또는 이송판결이 확정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규정에 의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개정 1996.12.03, 2021.01.29]

  1. 항소법원은 판결확정일로부터 7일 이내에 소송기록과 증거물을 환송 또는 이송받을 법원에 송부하고, 항소법원에 대응하는 검찰청 검사 또는 수사처검사에게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한다.
  2. 제1호의 송부를 받은 법원은 지체없이 그 법원에 대응한 검찰청 검사 또는 수사처검사에게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한다.
  3. 피고인이 교도소 또는 구치소에 있는 경우에는 항소법원에 대응한 검찰청 검사 또는 수사처검사는 제1호의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피고인을 환송 또는 이송받을 법원소재지의 교도소나 구치소에 이감한다.

 

제158조(변호인 선임의 효력)

원심법원에서의 변호인 선임은 법 제366조 또는 법 제367조의 규정에 의한 환송 또는 이송이 있은 후에도 효력이 있다.

 

제159조(준용규정)

제2편 중 공판에 관한 규정은 항소법원의 공판절차에 이를 준용한다.

 

형사소송규칙 더 보기

 

형사소송규칙 - 제1편 총칙_제15장 소송비용 완벽정리

형사소송규칙 - 제1편 총칙_제15장 소송비용. 형사소송규칙 - 제1편 총칙_제15장 소송비용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형사소송규칙 - 제1편 총칙_제15장 소송비용은 제92조의 2로만 이루

highlaws.tistory.com

 

형사소송규칙 - 제2편 제1심_제3장 공판 - 제2절 공판의 재판 완벽정리

형사소송규칙 - 제2편 제1심_제3장 공판 - 제2절 공판의 재판. 형사소송규칙 - 제2편 제1심_제3장 공판 - 제2절 공판의 재판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형사소송규칙 - 제2편 제1심_제3장

highlaws.tistory.com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_제1장 통칙 완벽정리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_제1장 통칙. 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_제1장 통칙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형사소송규칙 - 제3편 상소_제1장 통칙은 제152조 ~ 제154조로 이루어져 있습니

highlaw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