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 - 제8장 재해보상.
근로기준법 - 제8장 재해보상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근로기준법 - 제8장 재해보상은 제78조 ~ 제92조까지 이루어져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8장 재해보상
제78조(요양보상)
(1).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에 걸리면 사용자는 그 비용으로 필요한 요양을 행하거나 필요한 요양비를 부담하여야 한다.
(2). 제1항에 따른 업무상 질병과 요양의 범위 및 요양보상의 시기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08.03.21]
제79조(휴업보상)
(1). 사용자는 제78조에 따라 요양 중에 있는 근로자에게 그 근로자의 요양 중 평균임금의 100분의 60의 휴업보상을 하여야 한다. [개정 2008.03.21]
(2). 제1항에 따른 휴업보상을 받을 기간에 그 보상을 받을 사람이 임금의 일부를 지급받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평균임금에서 그 지급받은 금액을 뺀 금액의 100분의 60의 휴업보상을 하여야 한다. [신설 2008.03.21, 2020.05.26]
(3). 휴업보상의 시기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08.03.21]
제80조(장해보상)
(1).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에 걸리고, 완치된 후 신체에 장해가 있으면 사용자는 그 장해 정도에 따라 평균임금에 별표에서 정한 일수를 곱한 금액의 장해보상을 하여야 한다. [개정 2008.03.21]
(2). 이미 신체에 장해가 있는 사람이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인하여 같은 부위에 장해가 더 심해진 경우에 그 장해에 대한 장해보상 금액은 장해 정도가 더 심해진 장해등급에 해당하는 장해보상의 일수에서 기존의 장해등급에 해당하는 장해보상의 일수를 뺀 일수에 보상청구사유 발생 당시의 평균임금을 곱하여 산정한 금액으로 한다. [신설 2008.03.21, 2020.05.26]
(3). 장해보상을 하여야 하는 신체장해 등급의 결정 기준과 장해보상의 시기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08.03.21]
제81조(휴업보상과 장해보상의 예외)
근로자가 중대한 과실로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에 걸리고 또한 사용자가 그 과실에 대하여 노동위원회의 인정을 받으면 휴업보상이나 장해보상을 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제82조(유족보상)
(1). 근로자가 업무상 사망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한 후 지체 없이 그 유족에게 평균임금 1,000일분의 유족보상을 하여야 한다. [개정 2008.03.21]
(2). 제1항에서의 유족의 범위, 유족보상의 순위 및 보상을 받기로 확정된 사람이 사망한 경우의 유족보상의 순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08.03.21, 2020.05.26]
제83조(장례비)
근로자가 업무상 사망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한 후 지체 없이 평균임금 90일분의 장례비를 지급하여야 한다. [개정 2008.03.21, 2021.01.05]
[제목 개정 2021.01.05]
제84조(일시보상)
제78조에 따라 보상을 받는 근로자가 요양을 시작한 지 2년이 지나도 부상 또는 질병이 완치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그 근로자에게 평균임금 1,340일분의 일시보상을 하여 그 후의 이 법에 따른 모든 보상책임을 면할 수 있다.
제85조(분할보상)
사용자는 지급 능력이 있는 것을 증명하고 보상을 받는 사람의 동의를 받으면 제80조, 제82조 또는 제84조에 따른 보상금을 1년에 걸쳐 분할보상을 할 수 있다. [개정 2020.05.26]
제86조(보상 청구권)
보상을 받을 권리는 퇴직으로 인하여 변경되지 아니하고, 양도나 압류하지 못한다.
제87조(다른 손해배상과의 관계)
보상을 받게 될 사람이 동일한 사유에 대하여 {민법}이나 그 밖의 법령에 따라 이 법의 재해보상에 상당한 금품을 받으면 그 가액(價額)의 한도에서 사용자는 보상의 책임을 면한다. [개정 2020.05.26]
제88조(고용노동부 장관의 심사와 중재)
(1). 업무상의 부상, 질병 또는 사망의 인정, 요양의 방법, 보상금액의 결정, 그 밖에 보상의 실시에 관하여 이의가 있는 자는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심사나 사건의 중재를 청구할 수 있다. [개정 2010.06.04]
(2). 제1항의 청구가 있으면 고용노동부 장관은 1개월 이내에 심사나 중재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0.06.04]
(3). 고용노동부 장관은 필요에 따라 직권으로 심사나 사건의 중재를 할 수 있다. [개정 2010.06.04]
(4). 고용노동부 장관은 심사나 중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의사에게 진단이나 검안을 시킬 수 있다. [개정 2010.06.04]
(5). 제1항에 따른 심사나 중재의 청구와 제2항에 따른 심사나 중재의 시작은 시효의 중단에 관하여는 재판상의 청구로 본다.
[제목 개정 2010.06.04]
제89조(노동위원회의 심사와 중재)
(1). 고용노동부 장관이 제88조 제2항의 기간에 심사 또는 중재를 하지 아니하거나 심사와 중재의 결과에 불복하는 자는 노동위원회에 심사나 중재를 청구할 수 있다. [개정 2010.06.04]
(2). 제1항의 청구가 있으면 노동위원회는 1개월 이내에 심사나 중재를 하여야 한다.
제90조(도급 사업에 대한 예외)
(1). 사업이 여러 차례의 도급에 따라 행하여지는 경우의 재해보상에 대하여는 원수급인(元受給人)을 사용자로 본다.
(2). 제1항의 경우에 원수급인이 서면상 계약으로 하수급인에게 보상을 담당하게 하는 경우에는 그 수급인도 사용자로 본다.
다만, 2명 이상의 하수급인에게 똑같은 사업에 대하여 중복하여 보상을 담당하게 하지 못한다.
(3). 제2항의 경우에 원수급인이 보상의 청구를 받으면 보상을 담당한 하수급인에게 우선 최고(催告)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그 하수급인이 파산의 선고를 받거나 행방이 알려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91조(서류의 보존)
사용자는 재해보상에 관한 중요한 서류를 재해보상이 끝나지 아니하거나 제92조에 따라 재해보상 청구권이 시효로 소멸되기 전에 폐기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08.03.21]
제92조(시효)
이 법의 규정에 따른 재해보상 청구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소멸한다.
근로기준법 더 보기
'노동 및 환경 > 근로기준법 + 시행령 + 시행규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기준법 - 제10장 기숙사 완벽정리 (4) | 2024.09.29 |
---|---|
근로기준법 - 제9장 취업규칙 완벽정리 (7) | 2024.09.28 |
근로기준법 - 제7장 기능 습득 완벽정리 (2) | 2024.09.28 |
근로기준법 - 제6장의 2 직장 내 괴롭힘의 금지 완벽정리 (2) | 2024.09.25 |
근로기준법 - 제6장 안전과 보건 완벽정리 (0) | 2024.09.25 |